경남공익활동단체활동
경남공익활동단체의 활동을 게시하는 공간 입니다.
[단독주택지 생활쓰레기 배출] 개선 방법은 없는가 ?

kjk6795

2021-08-30 10:20

182

0
단독 주택지 생활 쓰레기 배출은 각 지자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현재 우리지역은 종량제 쓰레기 음식물쓰레기 배출은 일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저녁에 대문 앞에 배출하면은 다음 날 아침에 수거 차량이 6일간에 수거한다.
재활용배출은 목요일 저녁에 대문 앞에 배출하면은 다음 날 아침에 수거차량이 수거한다. 또한 대형 폐기물 수거업체 연락하여 유료로 수거한다. 단 가전재품은 무료로 수거한다.
아파트 단지에는 통상적으로 쓰레기 집하장에 단지별 쓰레기를 분류 방법에의 배출하며, 물론 음식물쓰레기는 음식쓰레기는 공동으로 큰 통에 배출한다.
1. 단독주택지 생활쓰레기 배출량 조사
단독주택지는 원룸 1인, 어르신 2인, 투룸 3인, 중년가족 4인 정도의 주거 형태로 이루어 있다.
1) 1인 가구 생활쓰레기 배출 현황
일주일에 종량제 봉투 10L에 1봉지 배출하며, 재활용쓰레기 분리 날에는 20L정도의 량의 배출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1인가구라 배달음식, 간편 식사로 배출이 없었다.

2) 2인 가구 생활쓰레기 배출 현황
일주일에 종량제 봉투 10L에 2봉지 즉 20L를 배출하며, 재활용쓰레기 분리수거 날에는 30L정도의 량을 배출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1인가구와 동일하게 배출을 하지 않고 있었다.

3) 3인 가구 생활쓰레기 배출 현황
일주일에 종량제 봉투 10L에 3봉지 즉 30L를 배출하며, 재활용쓰레기 분리수거 날에는 40L정도의 량을 배출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1주일에 1회 정도 2~5L를 배출하고 있었다.

4) 4인 가구 생활쓰레기 배출 현황
일주일에 종량제 봉투 10L에 4회 정도 즉 40L를 배출하며 재활용쓰레기 분리수거 날에는 30L정도의 량을 배출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1주일에 1회 5L정도로 배출하고 있었다.

2)아직까지는 어르신, 외국인, 젊은 사람들은 음식물쓰레기 분류에 대해 부족함이 있다.

3)재활용 분리 비빌 봉투를 열어보면 페트병, 플라스틱, 배달음식, 포장그릇, 캔 종류, 소형 스티로폼, 주류병 화장품용기 등 혼재되어 있으며, 종이파지에도 택배주소도 있는 상태로 배출, 또한 청소대행 업체에서도 수거를 할 때도 재활용 봉투 및 스티로폼 박스, 종이파지를 그대로 같이 수거하여 가져가므로 다시 분류하는 이중 삼중으로 순수 재활용품으로 분류하기까지에는 많은 손길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재활용 배출 일을 추가하여 1일차는 스티로폼 박스, 종이파지, 캔류, 주류 병을 2일차는 페트병 플라스틱 등을 수거하는 정책으로 분류업체에서 작업을 간소화를 해야 한다고 본다.
3) 재활용 분리수거 봉투는 현재는 검정색. 녹색 등 다양하다 이제는 투명 하얀색 봉투로 재활용 내용물이 보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코로나19로 발생 장기화로 외식을 할 수 없어 신선음식 및 배달음식 증가로 배달용기는 깨끗하게 세척하지 않은 이상 일제 종량제로 배출해야한다고 본다. 그리고 환경정책을 변경해서라도 아이스팩 생산업체와 소비자가 함께 재활용에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 구광준 -
재활용배출은 목요일 저녁에 대문 앞에 배출하면은 다음 날 아침에 수거차량이 수거한다. 또한 대형 폐기물 수거업체 연락하여 유료로 수거한다. 단 가전재품은 무료로 수거한다.
아파트 단지에는 통상적으로 쓰레기 집하장에 단지별 쓰레기를 분류 방법에의 배출하며, 물론 음식물쓰레기는 음식쓰레기는 공동으로 큰 통에 배출한다.
1. 단독주택지 생활쓰레기 배출량 조사
단독주택지는 원룸 1인, 어르신 2인, 투룸 3인, 중년가족 4인 정도의 주거 형태로 이루어 있다.
1) 1인 가구 생활쓰레기 배출 현황
일주일에 종량제 봉투 10L에 1봉지 배출하며, 재활용쓰레기 분리 날에는 20L정도의 량의 배출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1인가구라 배달음식, 간편 식사로 배출이 없었다.

2) 2인 가구 생활쓰레기 배출 현황
일주일에 종량제 봉투 10L에 2봉지 즉 20L를 배출하며, 재활용쓰레기 분리수거 날에는 30L정도의 량을 배출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1인가구와 동일하게 배출을 하지 않고 있었다.

3) 3인 가구 생활쓰레기 배출 현황
일주일에 종량제 봉투 10L에 3봉지 즉 30L를 배출하며, 재활용쓰레기 분리수거 날에는 40L정도의 량을 배출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1주일에 1회 정도 2~5L를 배출하고 있었다.

4) 4인 가구 생활쓰레기 배출 현황
일주일에 종량제 봉투 10L에 4회 정도 즉 40L를 배출하며 재활용쓰레기 분리수거 날에는 30L정도의 량을 배출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1주일에 1회 5L정도로 배출하고 있었다.

- 단독주택지 생활쓰레기 배출 문제점
2)아직까지는 어르신, 외국인, 젊은 사람들은 음식물쓰레기 분류에 대해 부족함이 있다.

3)재활용 분리 비빌 봉투를 열어보면 페트병, 플라스틱, 배달음식, 포장그릇, 캔 종류, 소형 스티로폼, 주류병 화장품용기 등 혼재되어 있으며, 종이파지에도 택배주소도 있는 상태로 배출, 또한 청소대행 업체에서도 수거를 할 때도 재활용 봉투 및 스티로폼 박스, 종이파지를 그대로 같이 수거하여 가져가므로 다시 분류하는 이중 삼중으로 순수 재활용품으로 분류하기까지에는 많은 손길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단독주택지 생활쓰레기 배출 및 수거에 대책
2) 재활용 배출 일을 추가하여 1일차는 스티로폼 박스, 종이파지, 캔류, 주류 병을 2일차는 페트병 플라스틱 등을 수거하는 정책으로 분류업체에서 작업을 간소화를 해야 한다고 본다.
3) 재활용 분리수거 봉투는 현재는 검정색. 녹색 등 다양하다 이제는 투명 하얀색 봉투로 재활용 내용물이 보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코로나19로 발생 장기화로 외식을 할 수 없어 신선음식 및 배달음식 증가로 배달용기는 깨끗하게 세척하지 않은 이상 일제 종량제로 배출해야한다고 본다. 그리고 환경정책을 변경해서라도 아이스팩 생산업체와 소비자가 함께 재활용에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 구광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