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공익활동단체활동
경남공익활동단체의 활동을 게시하는 공간 입니다.
진주시, 2021년 공정무역 시민강사 양성과정 교육

jinju9100

2021-09-02 15:57

183

0
〔진주시] 2021년 공정무역 3기시민강사 양성과정, 온라인으로 진행하다.
진주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사회 책임센터에서는 공정무역 시민강사를 모집하고 교육중이다.
시민,교직원,학생을 대상으로 2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할 예정이었으나 참여 호응이 좋아 현재 30명정도 온라인 수강을 하고 있다.
이번교육의 목표는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하여 사회책임활동을 확산시키고 지역사회의 상생 발전과 사회적가치 창출 여건 마련으로 공정무역의 가치 확산과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이에따라 공정무역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고 이를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는 ‘공정무역 시민강사'를 육성하고자 한다.
진주에서는 2018년 10월 공정무역마을 만들기를 위한 시민의 모임이 결성되었고 2018년 11월에 공정무역 포럼을 개최하고 2019년 1월 진주시 공정무역만들기 추진위원회가 결성되어 2019년 3월~4월에 1기 진주시 공정무역 시민강사 양성과정을 진행하여 27명이 수료하였다고 한다.
2기는 코로나로 인하여 2021년 1월에 온라인으로 개최하였고 3기는 현재 진행중이다.시민강사 양성과정을 수료하신 분들은 중,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정무역 강의를 하고 있으며 다양한 홍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으로 진양고등학교는 공정무역학교인증을 받았으며 경상국립대학은 2021년 공정무역대학 인증 심사 대비 요건을 충족하기위해 노력중이라고 한다.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사회 책임센터의 공정무역 교육내용의 특징은 ‘우리가 개도국을 왜 도와줘야해?’, ‘국가간 무역을 왜 지원해야 되나?’ 같은 공정무역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는 것을 포함한다. 공정무역은 지역의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고 지역에서 순환시키는 운동과 맞닿아 있음을 인식하고 지역과 만났을 때 시민들에게 설득력이 있다.
우리지역문제를 풀수있을까 같이 고민하고 공정무역이 선두에 서야되며 시민단체, 사회적 기업들, 로컬푸드, 환경단체와 연계되어 확장시킴으로써 공정무역이 지역문제와사회적 경제를 넓히는 길이기도 하다고 송원근 교수님은 강조하십니다.
교육내용은 아래와 같다.

앞으로도 많은 시민강사를 양성하여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모두가 행복한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 봅니다.
=경남공익기자단 류인경 기자=

진주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사회 책임센터에서는 공정무역 시민강사를 모집하고 교육중이다.
시민,교직원,학생을 대상으로 2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할 예정이었으나 참여 호응이 좋아 현재 30명정도 온라인 수강을 하고 있다.
이번교육의 목표는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하여 사회책임활동을 확산시키고 지역사회의 상생 발전과 사회적가치 창출 여건 마련으로 공정무역의 가치 확산과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이에따라 공정무역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고 이를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는 ‘공정무역 시민강사'를 육성하고자 한다.
진주에서는 2018년 10월 공정무역마을 만들기를 위한 시민의 모임이 결성되었고 2018년 11월에 공정무역 포럼을 개최하고 2019년 1월 진주시 공정무역만들기 추진위원회가 결성되어 2019년 3월~4월에 1기 진주시 공정무역 시민강사 양성과정을 진행하여 27명이 수료하였다고 한다.
2기는 코로나로 인하여 2021년 1월에 온라인으로 개최하였고 3기는 현재 진행중이다.시민강사 양성과정을 수료하신 분들은 중,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정무역 강의를 하고 있으며 다양한 홍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으로 진양고등학교는 공정무역학교인증을 받았으며 경상국립대학은 2021년 공정무역대학 인증 심사 대비 요건을 충족하기위해 노력중이라고 한다.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사회 책임센터의 공정무역 교육내용의 특징은 ‘우리가 개도국을 왜 도와줘야해?’, ‘국가간 무역을 왜 지원해야 되나?’ 같은 공정무역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는 것을 포함한다. 공정무역은 지역의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고 지역에서 순환시키는 운동과 맞닿아 있음을 인식하고 지역과 만났을 때 시민들에게 설득력이 있다.
우리지역문제를 풀수있을까 같이 고민하고 공정무역이 선두에 서야되며 시민단체, 사회적 기업들, 로컬푸드, 환경단체와 연계되어 확장시킴으로써 공정무역이 지역문제와사회적 경제를 넓히는 길이기도 하다고 송원근 교수님은 강조하십니다.
교육내용은 아래와 같다.
회차 | 일시 | 장소 | 내용 | 강사 |
1 | 7월 21일(수) 19:00-20:00 |
지역혁신청년센터 1층 복합커뮤니티실 (구법원) |
오리엔테이션 | 송원근 |
2 | 7월28일(수) 19:00~21:00 |
ZOOM 온라인 교육 | 공정무역의 이해 | 이영희 |
3 | 8월 4일(수) 19:00~21:00 |
공정무역과 기후위기 그리고 로컬페어트레이드 | 김선화 | |
4 | 8월 11일(수) 19:00~21:00 |
공정무역과 국제개발협력 네팔의 커피마을들 |
이미옥 | |
5 | 8월 18일(수) 19:00~21:00 |
공정무역 생산지 이야기 | 최희진 | |
6 | 8월 25일(수) 19:00~21:00 |
공정무역 마을 만들기 | 김미라 | |
7 | 9월 1일(수) 19:00~21:00 |
자유주제 | 수강자 |

앞으로도 많은 시민강사를 양성하여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모두가 행복한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 봅니다.
=경남공익기자단 류인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