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공익활동단체활동
경남공익활동단체의 활동을 게시하는 공간 입니다.
김해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 생긴다면 이렇게 해봐요.

ar3libra

2021-09-29 01:22

186

0
지난 9월 16일(목) 김해사회혁신가네트워크 주최로 김해지역문제해결 플랫폼 필요성 세미나 및 원탁토론이 진행되었다. 본 행사는 경남지역문제해결플랫폼, 행정안전부, 경상남도 후원으로 진행되었으며, 인제대학교 링크플러스사업단의 주관으로 진행되었다.

(사진출처-김해사회혁신가네트워크)
첫 시간은 경남지역문제해결플랫폼 사무국장의 경남지역문제해결플랫폼의 소개와 그동안의 성과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경남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지역혁신포럼으로 시작되었으며, 사회혁신플랫폼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최종적으로 경남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2019년도 13개 지구에 원탁토론이 진행되었으며 주제를 정하지 않고 진행하여 여러가지 문제들만 제기되었고 2020년에는 사전에 3가지 주제를 선정하도록 하여 원탁토론을 진행하여 주민들 참여를 통해 의제를 만들고 실행하였다고 한다. 주민참여예산은 주민들이 생각하는 문제들을 주민들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지만, 우리나라는 주민참여예산을 주민들의 아이디어를 정책 제안으로만이라고 왜곡된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하면서 아쉬움을 토로했다.

(사진- 김애리)
두 번째 시간은 김해의 다양한 지역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모인 30여명의 시민이 3조로 나뉘어 김해지역문제해결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토론 내용은 세미나 내용 주 지역문제해결플랫폼 목적이나 역할, 활동 등 기억나는 것, 해결하거나 해결되지 못한 지역 문제에 대한 경험, 해결되지 못한 경험의 사례로 왜 해결되지 못했을까, 김해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 어떤 방법과 과정으로 만들고 운영할까요?라는 질문으로 이야기를 나눴다.

(사진출처-김해사회혁신가네트워크)
토론 시간을 통해 김해지역문제해결플랫폼 창립울 위한 6가지 아이디어가 나왔다. 운영시스템, 실행 능력, 투명성, 구성원, 비전미션운영규칙수립, 많은 시민들의 사심없는 참여로 나왔다.

(사진출처-김해사회혁신가네트워크)
본 토론의 결과를 통해 김해지역문제해결 플랫폼이 어떻게 준비되고 실행될지 기대된다.
-경남공익기자단 김애리

(사진출처-김해사회혁신가네트워크)
첫 시간은 경남지역문제해결플랫폼 사무국장의 경남지역문제해결플랫폼의 소개와 그동안의 성과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경남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지역혁신포럼으로 시작되었으며, 사회혁신플랫폼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최종적으로 경남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2019년도 13개 지구에 원탁토론이 진행되었으며 주제를 정하지 않고 진행하여 여러가지 문제들만 제기되었고 2020년에는 사전에 3가지 주제를 선정하도록 하여 원탁토론을 진행하여 주민들 참여를 통해 의제를 만들고 실행하였다고 한다. 주민참여예산은 주민들이 생각하는 문제들을 주민들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지만, 우리나라는 주민참여예산을 주민들의 아이디어를 정책 제안으로만이라고 왜곡된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하면서 아쉬움을 토로했다.

(사진- 김애리)
두 번째 시간은 김해의 다양한 지역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모인 30여명의 시민이 3조로 나뉘어 김해지역문제해결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토론 내용은 세미나 내용 주 지역문제해결플랫폼 목적이나 역할, 활동 등 기억나는 것, 해결하거나 해결되지 못한 지역 문제에 대한 경험, 해결되지 못한 경험의 사례로 왜 해결되지 못했을까, 김해지역문제해결플랫폼이 어떤 방법과 과정으로 만들고 운영할까요?라는 질문으로 이야기를 나눴다.

(사진출처-김해사회혁신가네트워크)
토론 시간을 통해 김해지역문제해결플랫폼 창립울 위한 6가지 아이디어가 나왔다. 운영시스템, 실행 능력, 투명성, 구성원, 비전미션운영규칙수립, 많은 시민들의 사심없는 참여로 나왔다.

(사진출처-김해사회혁신가네트워크)
본 토론의 결과를 통해 김해지역문제해결 플랫폼이 어떻게 준비되고 실행될지 기대된다.
-경남공익기자단 김애리